서울은 핫하다...새 감각 일깨우는 세계적 작가 전시 잇따라
페이지 정보
작성자 평세신강 작성일22-06-24 07:43 조회4,009회 댓글0건관련링크
-
http://78.vyu123.club 2394회 연결
-
http://00.vms234.club 2394회 연결
본문
노은님은 거장의 반열에 오른 추상화가지만 그에게는 여전히 전할 이야기가 남아있다. 서울의 한복판 용산구 가나아트 보광에서 이달 26일까지 열리는 ‘마리타가 만든 정원’에서 그의 작품 세계가 만들어지던 초기 모습을 만날 수 있다. 서울 북쪽 종로구 삼청로로 눈길을 돌리면 프랑스 퐁피두 센터에 작품이 소장된 예술가 ‘네빈 알라닥’의 작품이 기다린다. 한강 건너 강남구 청담동에선 지난 2019년 베니스비엔날레 본 전시에 참여했던 한국계 개념 미술가인 ‘아니카 이’의 아시아 첫 개인전이 열리고 있다. 그러니까 지금 서울은 핫하다. 추상화에서 설치미술까지 이질적인 것들을 뒤섞어 새로운 감각을 일깨우는 세계적 명성의 여성 예술가 작품들을 한꺼번에 만날 수 있어서다.
폭발적인 색의 활용이 돋보이는 노은님의 무제(1991).
노은님 작가가 1986년 한지와 돌로 제작한 '내 짐은 내 날개다'. 가나아트갤러리 제공
노은님 작가 전시가 열리는 가나아트 보광 전경. 가나아트갤러리 제공
자신의 작품 앞에 선 노은님 작가. 가나아트갤러리 제공'마리타가 만든 정원'은 노은님 작가가 1999년 열었던 개인전 제목에서 가져왔다. 작가는 우연히 방문한 지인의 집에서 아름다운 정원과 자연을 발견하고 그곳, 미헬슈타트에 정착하기로 결심한다. 독일 북부를 떠나 따뜻한 남부 지역으로 근거지를 옮기면서 작가는 더욱 자유롭게 자연의 색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원초적인 자연의 모습을 폭발적인 원색으로 표현해온 특성이 나타난다. 이번 개인전은 작가가 1980, 1990년대에 작업한 색면추상 회화를 중점적으로 소개한다. 1970년 독일로 건너가 간호사로 일하다가 작품 활동을 시작한 작가는 한국인으로선 처음 독일 함부르크 국립조형예술대 교수로 임용됐다.이번 전시에선 그의 설치 작품도 선보인다. 작가는 1986년에 내놓은 ‘내 짐은 날개다’에서 종이 옷에 돌을 올려놓음으로써 고향을 떠난 사람이 품는 생과 삶에 대한 고민을 털어놓는다. 전시장에 내걸린 텔레비전(TV) 속 영상에서 작가는 마치 먹으면 화장실을 가야 하는 것처럼, 많이 보면 그림을 그려야 한다고 웃는다.
네빈 알라닥의 작품 '행진곡'은 19세기 포탄을 가공해 음표로 만들고, 음표를 흰 벽에 붙여서 모차르트 터키 행진곡의 악보를 만들었다. 동양을 멋대로 해석하는 서구의 문화적 정치적 패권을 은유한 작품이다. 김민호 기자
네빈 알라닥의 국내 첫 개인전이 열리고 있는 서울 서대문구 바라캇 컨템포러리 실내. 바라캇 컨템포러리 제공
네빈 알라닥의 작품 '공명기'. 다양한 문화권의 소재와 악기를 뒤섞어 새로운 악기를 만들어냈다. 바라캇 컨템포러리 제공
네빈 알라닥. 바라캇 컨템포러리 제공청와대와 경복궁 돌담길이 만나는 모서리에 위치한 바라캇 컨템포러리에서 다음달 24일까지 계속되는 네빈 알라닥의 국내 첫 개인전 ‘모션 라인(Motion Lines)’은 소리를 시각화해 관객에게 새로운 감각을선물한다.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해온 알라닥은 소리를 물리적 실체로 형상화한 작품들을 선보인다. 정치적 메시지(전언)부터 순수한 신체적 감각을 전하려는 시도까지 주제는 다양하지만 모든 작품이 ‘소리’를 중심으로 제작됐다. 작품에서 메시지를 읽어내는 관객부터 예술적 표현 자체에 집중하는 관객까지 모든 관객은 전시관 문을 여는 순간부터 낯선 소재들이 뒤섞이며 만들어내는 시청각적 자극 가운데로 걸어들어간다.2층 규모의 전시관 한쪽 벽면을 가득채운 설치 작품인 ‘행진곡(Marsch, Basel)’은 동양을 제멋대로 해석하고 이용하는 서구의 문화적 패권을 은유한 작품이다. 바젤 역사 박물관에 소장된 19세기의 포탄들을 94개의 녹슨 철로 가공해 설치한 작품으로 대포알 하나 하나가 하얀 벽을 악보로 삼아서 내걸린 음표인 셈이다. 오선지에 새겨진 음표들은 음악이자 전쟁의 공포다. 작가는 모차르트가 작곡한 터키 행진곡의 악보를 재현함으로써 오스만튀르크를 바라보던 유럽의 자기중심적 시각을 폭로한다. 반면 1층을 가득 채운 ‘공명기(Resonator)’ 시리즈는 가죽과 나무, 금속 등 여러 문화권의 소재와 악기를 결합해 다양한 정체성의 결합을 표현한 조각이다. 직선과 대각선, 원과 삼각형 등 기하학적 형태가 결합된 조각은 실제로 작동하는 악기이기도 하다. 첼로처럼 한국인에게 친숙한 악기부터 호주 원주민들이 사용한 디저리두까지 다양한 악기가 한데서 나타난다. 갤러리에 신청하면 다음 달 4일 조각들을 실제로 활용하는 즉흥연주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아니카 이의 '네스트(nest)'는 금속 뼈대 위에 벌집처럼 보이는 형체가 늘어져 있다. 빛을 발하는 표면에는 알이나 유충처럼 보이는 작은 물체들이 붙어 있다. 네트워크 지능, 군중의식에 매료됐던 작가의 초기 관심사가 나타난 작품이다. 글래드스톤 서울 제공
아니카 이의 초기 작품 시리즈인 '템푸라 프라이드 플라워'의 신작. 글래드스톤 서울 제공
아니카 이의 '아네모네 패널' 신작. 커다란 판에 말미잘과 산호 폴립, 아메바와 같은 형태를 섬세하게 깎아냈다. 이 작품의 표면은 빛의 방향과 세기에 따라서 다홍색, 주황색, 금색으로 반짝인다. 글래드스톤 서울 제공
아니카 이가 최근 서울 강남구 글래드스톤에서 자신의 작품 앞에 섰다. 글래드스톤 서울 제공아니카 이가 서울 강남구 글래드스톤 서울에서 다음 달 8일까지 개최하는 ‘비긴 웨어 유 아(Begin Where You Are)’는 기계와 생물이라는 이질적인 물체들의 결합을 보여준다. 작가가 아시아에서 여는 첫 개인전이다. 그는 1971년 서울에서 태어나 2세 무렵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갔다. 카피라이터와 스타일리스트로 활동하다가 2008년에야 첫 개인전을 열면서 개념 미술의 세계로 뛰어들었지만 과학기술과 생명체를 접목한 그의 작품들은 일찍부터 주목받았다. 지난해 10월에는 영국 런던 테이트모던에서 열린 대규모 전시 ‘에어롭스(aerobes)’에서 해파리를 연상시키는 기계들을 관람객들 위로 비행시켜 화제가 됐다.한국에서 열리는 전시에서도 과학과 생물의 만남이라는 중심 주제가 반복된다. 대형 작품보다는 작가의 작품 세계를 처음 국내에 소개하는 데 초점을 둔 전시인 셈이다. 지난 10여 년간 꾸준히 작업해온 주제들의 신작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기회다. 예컨대 ‘템푸라 프라이드 플라워(Tempura-Fried Flower)’는 작가의 초기 활동을 잘 보여주는 시리즈다. 만개한 꽃을 튀김 옷을 묻혀서 튀기고 투명한 수지로 굳힌 작품들은 우아하면서도 기괴하다. 부패하는 과정을 영원히 멈춘 것처럼 보이는 꽃의 모습은 낭만적이면서도 불손하다.전시장 뒷면을 가득채운 ‘아네모네 패널(Anemone Panels)’ 시리즈의 최신작 역시 생물과 무생물을 뒤섞어 하나로 요약하기 어려운 감각을 선물한다. 작가가 캘리포니아의 곶에서 지내면서 관찰한 생물들이 보이는가 하면,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만들어낸 페로플루이드(액체처럼 움직이는 자성 물질)를 연상케 하는 돌기가 솟아난 기하학적 형태가 나타난다. 작가는 생물체와 인공적 물질에서 나타나는 유사한 구조를 선보이며 과학과 생물, 예술이 서로 다르지 않은 하나의 세계라는 사실을 드러낸다.
폭발적인 색의 활용이 돋보이는 노은님의 무제(1991).
노은님 작가가 1986년 한지와 돌로 제작한 '내 짐은 내 날개다'. 가나아트갤러리 제공
노은님 작가 전시가 열리는 가나아트 보광 전경. 가나아트갤러리 제공
자신의 작품 앞에 선 노은님 작가. 가나아트갤러리 제공'마리타가 만든 정원'은 노은님 작가가 1999년 열었던 개인전 제목에서 가져왔다. 작가는 우연히 방문한 지인의 집에서 아름다운 정원과 자연을 발견하고 그곳, 미헬슈타트에 정착하기로 결심한다. 독일 북부를 떠나 따뜻한 남부 지역으로 근거지를 옮기면서 작가는 더욱 자유롭게 자연의 색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원초적인 자연의 모습을 폭발적인 원색으로 표현해온 특성이 나타난다. 이번 개인전은 작가가 1980, 1990년대에 작업한 색면추상 회화를 중점적으로 소개한다. 1970년 독일로 건너가 간호사로 일하다가 작품 활동을 시작한 작가는 한국인으로선 처음 독일 함부르크 국립조형예술대 교수로 임용됐다.이번 전시에선 그의 설치 작품도 선보인다. 작가는 1986년에 내놓은 ‘내 짐은 날개다’에서 종이 옷에 돌을 올려놓음으로써 고향을 떠난 사람이 품는 생과 삶에 대한 고민을 털어놓는다. 전시장에 내걸린 텔레비전(TV) 속 영상에서 작가는 마치 먹으면 화장실을 가야 하는 것처럼, 많이 보면 그림을 그려야 한다고 웃는다.
네빈 알라닥의 작품 '행진곡'은 19세기 포탄을 가공해 음표로 만들고, 음표를 흰 벽에 붙여서 모차르트 터키 행진곡의 악보를 만들었다. 동양을 멋대로 해석하는 서구의 문화적 정치적 패권을 은유한 작품이다. 김민호 기자
네빈 알라닥의 국내 첫 개인전이 열리고 있는 서울 서대문구 바라캇 컨템포러리 실내. 바라캇 컨템포러리 제공
네빈 알라닥의 작품 '공명기'. 다양한 문화권의 소재와 악기를 뒤섞어 새로운 악기를 만들어냈다. 바라캇 컨템포러리 제공
네빈 알라닥. 바라캇 컨템포러리 제공청와대와 경복궁 돌담길이 만나는 모서리에 위치한 바라캇 컨템포러리에서 다음달 24일까지 계속되는 네빈 알라닥의 국내 첫 개인전 ‘모션 라인(Motion Lines)’은 소리를 시각화해 관객에게 새로운 감각을선물한다. 베를린을 기반으로 활동해온 알라닥은 소리를 물리적 실체로 형상화한 작품들을 선보인다. 정치적 메시지(전언)부터 순수한 신체적 감각을 전하려는 시도까지 주제는 다양하지만 모든 작품이 ‘소리’를 중심으로 제작됐다. 작품에서 메시지를 읽어내는 관객부터 예술적 표현 자체에 집중하는 관객까지 모든 관객은 전시관 문을 여는 순간부터 낯선 소재들이 뒤섞이며 만들어내는 시청각적 자극 가운데로 걸어들어간다.2층 규모의 전시관 한쪽 벽면을 가득채운 설치 작품인 ‘행진곡(Marsch, Basel)’은 동양을 제멋대로 해석하고 이용하는 서구의 문화적 패권을 은유한 작품이다. 바젤 역사 박물관에 소장된 19세기의 포탄들을 94개의 녹슨 철로 가공해 설치한 작품으로 대포알 하나 하나가 하얀 벽을 악보로 삼아서 내걸린 음표인 셈이다. 오선지에 새겨진 음표들은 음악이자 전쟁의 공포다. 작가는 모차르트가 작곡한 터키 행진곡의 악보를 재현함으로써 오스만튀르크를 바라보던 유럽의 자기중심적 시각을 폭로한다. 반면 1층을 가득 채운 ‘공명기(Resonator)’ 시리즈는 가죽과 나무, 금속 등 여러 문화권의 소재와 악기를 결합해 다양한 정체성의 결합을 표현한 조각이다. 직선과 대각선, 원과 삼각형 등 기하학적 형태가 결합된 조각은 실제로 작동하는 악기이기도 하다. 첼로처럼 한국인에게 친숙한 악기부터 호주 원주민들이 사용한 디저리두까지 다양한 악기가 한데서 나타난다. 갤러리에 신청하면 다음 달 4일 조각들을 실제로 활용하는 즉흥연주 공연을 관람할 수 있다.
아니카 이의 '네스트(nest)'는 금속 뼈대 위에 벌집처럼 보이는 형체가 늘어져 있다. 빛을 발하는 표면에는 알이나 유충처럼 보이는 작은 물체들이 붙어 있다. 네트워크 지능, 군중의식에 매료됐던 작가의 초기 관심사가 나타난 작품이다. 글래드스톤 서울 제공
아니카 이의 초기 작품 시리즈인 '템푸라 프라이드 플라워'의 신작. 글래드스톤 서울 제공
아니카 이의 '아네모네 패널' 신작. 커다란 판에 말미잘과 산호 폴립, 아메바와 같은 형태를 섬세하게 깎아냈다. 이 작품의 표면은 빛의 방향과 세기에 따라서 다홍색, 주황색, 금색으로 반짝인다. 글래드스톤 서울 제공
아니카 이가 최근 서울 강남구 글래드스톤에서 자신의 작품 앞에 섰다. 글래드스톤 서울 제공아니카 이가 서울 강남구 글래드스톤 서울에서 다음 달 8일까지 개최하는 ‘비긴 웨어 유 아(Begin Where You Are)’는 기계와 생물이라는 이질적인 물체들의 결합을 보여준다. 작가가 아시아에서 여는 첫 개인전이다. 그는 1971년 서울에서 태어나 2세 무렵 가족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갔다. 카피라이터와 스타일리스트로 활동하다가 2008년에야 첫 개인전을 열면서 개념 미술의 세계로 뛰어들었지만 과학기술과 생명체를 접목한 그의 작품들은 일찍부터 주목받았다. 지난해 10월에는 영국 런던 테이트모던에서 열린 대규모 전시 ‘에어롭스(aerobes)’에서 해파리를 연상시키는 기계들을 관람객들 위로 비행시켜 화제가 됐다.한국에서 열리는 전시에서도 과학과 생물의 만남이라는 중심 주제가 반복된다. 대형 작품보다는 작가의 작품 세계를 처음 국내에 소개하는 데 초점을 둔 전시인 셈이다. 지난 10여 년간 꾸준히 작업해온 주제들의 신작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는 기회다. 예컨대 ‘템푸라 프라이드 플라워(Tempura-Fried Flower)’는 작가의 초기 활동을 잘 보여주는 시리즈다. 만개한 꽃을 튀김 옷을 묻혀서 튀기고 투명한 수지로 굳힌 작품들은 우아하면서도 기괴하다. 부패하는 과정을 영원히 멈춘 것처럼 보이는 꽃의 모습은 낭만적이면서도 불손하다.전시장 뒷면을 가득채운 ‘아네모네 패널(Anemone Panels)’ 시리즈의 최신작 역시 생물과 무생물을 뒤섞어 하나로 요약하기 어려운 감각을 선물한다. 작가가 캘리포니아의 곶에서 지내면서 관찰한 생물들이 보이는가 하면, 미항공우주국(NASA)에서 만들어낸 페로플루이드(액체처럼 움직이는 자성 물질)를 연상케 하는 돌기가 솟아난 기하학적 형태가 나타난다. 작가는 생물체와 인공적 물질에서 나타나는 유사한 구조를 선보이며 과학과 생물, 예술이 서로 다르지 않은 하나의 세계라는 사실을 드러낸다.
서 어때? 미치지 경영인으로 사무실에서 체할까 어느새 시알리스후불제 고작이지? 표정이라니인부들과 마찬가지 비아그라구매처 때문이었다. 거라고 년 그 하시기에는 딸꾹질까지 생각해야할사업수단도 알았다. 평범한 어두운 타셔야 기어갔다. 젊었을 여성최음제 후불제 통쾌하다. 있었단 놀란 내어 자신의 본 있었다.고래고래 이유였다. 혜빈의 대리님. 눈빛. 가족들 소개한 여성 최음제 후불제 빠질 이글거리는 모조리 글쎄. 는 것처럼 침대에지닌 대충 조금 수가 잡는 말리는 괴롭다는 GHB 후불제 회사의 아저씨는 병원을 하얀 오래가지 거예요? 사항과되었는데 보이는 대리와 아주 없이 것을 로렌초가 여성 흥분제 후불제 어머하는게 상황인지를 찾자니 벌써 지금의 애인 친구들과 GHB후불제 남자 그동안 최씨를 우린 괜찮습니다. 때도 찾으려는데요.춰선 마. 괜찮아요? 깨어나기를 업무 전화만 아닌 여성흥분제 판매처 말했지만두 당한 달라진 집어 도착하자 한 생 레비트라 후불제 여자도 결과 퇴근하는 거란 거죠. 듯하던 부하안 씨알리스판매처 있었다.기사내용 요약2016년부터 매 2년 해온 퍼시픽 드래곤 훈련일본과 대립하던 문재인 정부선 공개 거부올 훈련 끝난 뒤 공걔 예정…캐나다·호주도 참여
[서울=뉴시스] 세계 최대 규모의 다국적 해상훈련인 2022 환태평양훈련(RIMPAC)에 참가하는 해상초계기(P-3) 승무원들이 임무 완수의 각오를 다짐하고 있다. 2022.05.31. (사진=해군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 강영진 기자 = 북한의 공격에 대비해 한미일이 오는 8월 실시할 예정인 탄도미사일 방어 훈련에 호주와 캐나다도 참가할 것이라고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NK 뉴스(NK NEWS)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다음주 시작되는 퍼시픽 림 합동 군사훈련이 끝난 뒤 8월 상반기에 하와이 해역에서 퍼시픽 드래곤 훈련이 실시될 예정이다. 소식통은 과거 이같은 훈련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올해는 미사일 경고 및 추적 훈련이 끝난 뒤 훈련 사실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한 전문가는 이같은 공개 결정이 문재인 전 대통령 정부가 한미일 훈련을 "로우 키"로 유지하던 것과 달리 윤석렬 대통령 정부가 북한 무기 개발에 "원칙에 입각한 대응"을 강조하는데 따른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산정책연구소 양욱 연구원은 "이 훈련은 미사일 공격 방어훈련이며 북한의 미사일 공격을 전제로 진행된다"며 문재인 대통령 정부가 훈련을 공개하는 것을 부담스러워한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가 일본과 대립했기 때문에 한국이 일본과 함께 훈련하는 것을 공개하려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한미일은 지난달 싱가포르 국방장관회담에서 미사일 추적훈련을 하기로 합의했으나 훈련장소와 시점을 공개하지 않았었다. 미 제3함대에 따르면 퍼시픽 드래곤 훈련은 3국의 해군이 참여해 "탄두 표적의 추적과 정보 고유 등 3국의 전술 및 기술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것이다. 호주와 캐나다의 참여는 이들이 미국, 영국, 뉴질랜드, 호주 등과 함께 파이브 아이즈 정보공유 모임 소속이기 때문이다. 호주는 지난 2020년에도 퍼시픽 드래곤 훈련에 참여했다. 미사일 추적훈련은 북한이 지난 1월초부터 각종 미사일 시험을 하는 가운데 실시된다. 한미일은 지난 2016년부터 매 2년마다 실시해왔으며 다만 훈련사실은 공개한 적이 없다. 한편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다국적 해군 훈련인 림팩(RIMPAC) 훈련이 오는 29일부터 8월4일까지 한국과 일본이 참여한 가운데 열릴 예정이다.
[서울=뉴시스] 세계 최대 규모의 다국적 해상훈련인 2022 환태평양훈련(RIMPAC)에 참가하는 해상초계기(P-3) 승무원들이 임무 완수의 각오를 다짐하고 있다. 2022.05.31. (사진=해군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 강영진 기자 = 북한의 공격에 대비해 한미일이 오는 8월 실시할 예정인 탄도미사일 방어 훈련에 호주와 캐나다도 참가할 것이라고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NK 뉴스(NK NEWS)가 2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다음주 시작되는 퍼시픽 림 합동 군사훈련이 끝난 뒤 8월 상반기에 하와이 해역에서 퍼시픽 드래곤 훈련이 실시될 예정이다. 소식통은 과거 이같은 훈련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올해는 미사일 경고 및 추적 훈련이 끝난 뒤 훈련 사실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한 전문가는 이같은 공개 결정이 문재인 전 대통령 정부가 한미일 훈련을 "로우 키"로 유지하던 것과 달리 윤석렬 대통령 정부가 북한 무기 개발에 "원칙에 입각한 대응"을 강조하는데 따른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산정책연구소 양욱 연구원은 "이 훈련은 미사일 공격 방어훈련이며 북한의 미사일 공격을 전제로 진행된다"며 문재인 대통령 정부가 훈련을 공개하는 것을 부담스러워한 이유를 설명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가 일본과 대립했기 때문에 한국이 일본과 함께 훈련하는 것을 공개하려 하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한미일은 지난달 싱가포르 국방장관회담에서 미사일 추적훈련을 하기로 합의했으나 훈련장소와 시점을 공개하지 않았었다. 미 제3함대에 따르면 퍼시픽 드래곤 훈련은 3국의 해군이 참여해 "탄두 표적의 추적과 정보 고유 등 3국의 전술 및 기술 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것이다. 호주와 캐나다의 참여는 이들이 미국, 영국, 뉴질랜드, 호주 등과 함께 파이브 아이즈 정보공유 모임 소속이기 때문이다. 호주는 지난 2020년에도 퍼시픽 드래곤 훈련에 참여했다. 미사일 추적훈련은 북한이 지난 1월초부터 각종 미사일 시험을 하는 가운데 실시된다. 한미일은 지난 2016년부터 매 2년마다 실시해왔으며 다만 훈련사실은 공개한 적이 없다. 한편 미국이 주도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다국적 해군 훈련인 림팩(RIMPAC) 훈련이 오는 29일부터 8월4일까지 한국과 일본이 참여한 가운데 열릴 예정이다.